CS/network 5

Protocol Stack

Internet 에서 Protocol 의 역할 네트워크를 공부하면서 가장 머리가 아팠던건 다양한 개념들이 다양한 곳에서 다 다른 뜻으로 쓰인다는 점이었다. Internet 을 이해하려면 Internet 을 구성하는 각 protocol들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면 됨 SW 블록들을 프로토콜로 이해하면 된다. SW 블록들을 수행할 때 프로토콜 단위로 수행한다. 단위의 약속들이 쌓여서 Protocol stack 이 쌓인다. SW 블록들을 Protocol 기반으로 수행하게 된다. Protocol 이 쌓여 있는 모습을 layer라고한다. Protocol 메시지 + 관련 동작 Protocol 구조 통신 네트워크는 여러개 protocol 이 서로 얽혀서 동작한다. stack 구조로 위 아래 protocol 끼리 API 로..

CS/network 2023.06.05

OSI 7 계층과 TCP/IP 모델

OSI OSI는 "Open Systems Interconnection"의 약자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설계를 위해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이다. OSI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을 일곱 개의 계층으로 분리하여 각 계층이 특정 기능과 책임을 가지도록 정의한다. 물리 계층(Physical Layer): 전기적, 기계적인 신호를 전송하는 물리적인 연결과 관련된 기능을 담당합니다.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물리적인 연결을 통해 안정적인 전송을 보장하고, 오류 감지 및 복구 기능을 수행합니다.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경로 설정, 패킷 전달, 라우팅 등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전달을 관리합니다.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종단 간 신뢰..

CS/network 2023.06.04

HTTP(1)

HTTP 란?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클라이언트는 웹 사이트를 보기 위해 서버(웹 서버 프로그램) 의 80 번 포트를 사용하며 HTTP 통신을 한다. 클라이언트에서는 HTTp request를 보내고 서버에서 HTTP response 를 반환한다. HTTP 특징 클라이언트 - 서버 구조 무상태 프로토콜(stateless), 비연결성 HTTP 메시지 단순함, 확장 가능 클라이언트-서버구조 Request Response 구조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대기 서버가 요청에 대한 결과를 만들어 응답 무상태 프로토콜(Stateless)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하지 않는다. 상태를 보관하지 않기 때문에 서버 확장성이 높다. 어떤 요청에 대해서 어떤 서버가 처리..

CS/network 2023.03.28

URI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합된 방법이다. URI 라는 큰 개념 안에 URL 과 URN 이 들어간다. URI : 로케이터, 이름 또는 둘다 추가로 분류될 수 있다. URL(Resource Locator) : 리소스의 위치라고 이해하면된다. URN(Resource Name): 리소스의 이름을 의미한다. 리소스의 검색은 어렵기 때문에 URN 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거의 URL 을 사용한다. URI Uniform: 리소스 식별하는 통일된 방식 Resource: 자원, URI로 식별할 수 있는 모든 것(제한 없음) Idenifier : 다른 항목과 구분하는데 필요한 정보 URL, URN URL - LOcator: 리소스가 있는 위치를 지정 URN - Nam..

CS/network 2023.03.28

인터넷 네트워크(1) - TCP 와 IP

클라이언트-서버 통신 클라이언트와 서버들은 개별적인 메시지 교환에 의해 통신한다. 클라이언트에 의해 전송되는 메시지를 요청이라고 부르며, 서버에서 응답으로 전달되는 메시지를 응답이라고 부른다. 프로토콜 통신 프로토콜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다양한 프로토콜이 존재한다. 이 프로토콜의 양식에 따라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cf) 프로토콜 모음 컴퓨터 내부 혹은 컴퓨터 간의 데이터 교환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 체계이다. HTTP : HTML 문서와 같은 리소스들을 가져 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이다. 웹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데이터 교환의 기초이며,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 이기도 하다. HTTPS : HTTP protocol 의 암호화된 버전이다. ..

CS/network 2023.03.28